보건복지부가 AI 기반의 복지·돌봄 혁신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스란 제1차관은 14일 ‘서울특별시립 남부노인전문요양원’을 방문해 돌봄 기술의 도입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의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방문은 대표적인 장기요양 현장에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 기술 등 다양한 돌봄기술이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직접 확인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차관은 기술이 돌봄 종사자에게 어떤 방식으로 업무 부담 완화 효과를 주는지 이용자의 안전·생활 편의 증진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폈다.
이 자리에서는 돌봄기술 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약과 개선이 필요한 제도적 요소에 대한 현장 의견도 함께 논의됐다.
현재 일부 시설에서는 낙상 감지 센서, AI 모니터링 시스템, 이동 보조 로봇 등이 활용되고 있지만 기술 도입에 따른 초기 비용, 제도적 기준, 유지관리 문제 등이 애로사항으로 제기된 바 있다.
복지부는 올해 8월 AI를 기반으로 복지·돌봄 분야의 근본적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 ‘AI 복지·돌봄 추진단’을 출범시켰다.
추진단은 기업, 돌봄 현장, 전문가와의 간담회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으며,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내년 상반기 중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스란 제1차관은 “기술을 활용한 돌봄 혁신은 종사자뿐 아니라 이용자 모두가 체감해야 의미가 있다”며 “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실질적 과제를 신속하게 발굴하고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돌봄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AI 기술이 현실적인 돌봄환경 개선으로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복지부는 앞으로도 돌봄기술 실증, 제도개선, 기술 표준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AI 기반 돌봄서비스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