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5회 분쉬의학상 본상 수상자 서울의대 내과학 오도연 교수 / 한국베링거인겔하임
대한의학회와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제35회 분쉬의학상’ 본상 수상자로 서울대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오도연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젊은의학자상은 기초부문에 가톨릭의대 병리학교실 김영광 조교수, 임상부문에 기초과학연구원(IBS) 진호경 선임연구원이 각각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오도연 교수는 위암, 췌장암, 담도암 등 소화기암 분야에서 신약 개발과 치료 표적, 신규 바이오마커 발굴에 앞장서 온 연구자다.
특히 담도암 치료에서 면역항암제와 세포독성항암제를 병용한 임상 2상 연구를 통해 환자의 무진행생존기간과 전체생존기간을 유의하게 연장시키며 세계 최초로 그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했다.
해당 연구는 이후 글로벌 임상 3상으로 이어졌으며 오 교수가 글로벌 총괄 책임 연구자로 참여해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의 유효성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이 연구는 전 세계 담도암 표준치료 지침을 새롭게 정의한 계기가 됐으며 국내 연구자가 주도적으로 글로벌 치료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었다는 점에서 학문적·의학적 의의가 크다.
오 교수는 “국내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분쉬의학상 본상을 수상하게 되어 영광스럽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임상 연구를 통해 암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법을 제시하고자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기초부문 수상자인 김영광 조교수는 유전자 편집 기술인 ‘프라임 편집(Prime Editing)’을 기반으로 암 관련 변이의 기능을 대규모로 분석할 수 있는 ‘PEER-seq’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EGFR 변이의 TKI 내성 프로파일을 총체적으로 제시하고 임상적으로 불확실한 변이에 대한 내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 기술은 정밀의료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상부문에서는 진호경 선임연구원이 뇌척수액의 배출 경로를 명확히 규명하고 림프관을 조절해 뇌척수액 배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침습적 수술 없이 림프관을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진우 대한의학회 회장은 “분쉬의학상은 한국 의과학의 발전과 한·독 양국의 학술 교류를 이끌어온 상징적인 상”이라며 “수상자들의 열정과 성과가 국내 의료 수준을 세계적 단계로 한층 끌어올렸다”고 밝혔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 안나마리아 보이 사장은 “수상자들의 헌신적인 연구가 환자들의 삶을 바꾸는 혁신으로 이어졌다”며 “앞으로도 국내 의과학 연구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분쉬의학상은 조선 고종의 주치의이자 국내 최초의 독일인 의사인 리하르트 분쉬(Richard Wunsch)의 이름을 따 1990년에 제정됐다.
매년 국내 의학 발전에 공헌한 의학자에게 ‘본상’을, 40세 이하의 우수 논문 발표자에게 ‘젊은의학자상’을 시상한다. 올해 시상식은 오는 25일 개최될 예정이다.